히어리
조록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다른 나라에는 없고 우리나라에만 나는 한국특산식물이다.
키는 1~3m쯤 자라고 줄기에는 피목(수피에 있는 작은 구멍)이 많다. 끝이 뾰죽한 잎은 어긋나는데
밑은 움푹 패어 있다. 잎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들이 있으며, 중앙맥[中肋]에서 2차맥이 나란히
나오고, 잎 밑쪽에 생기는 3, 4차 맥은 2, 3차맥에서 각각 나란히 나온다. 꽃은 잎이 나오기 전인
4월경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연한 황록색으로 핀다. 각각의 꽃 바로 밑에 포가 달리는데,
꽃차례 아래쪽에 있는 포는 꽃보다 길고, 위쪽에 있는 포는 꽃보다 짧다. 꽃받침잎과 꽃잎, 수술은
모두 5개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9월에 맺힌다. [자료 : Daum 백과사전]
(2020년 03월 31일 / 강원도 철원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