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고들빼기
국화과에 속하는 1년 또는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80~150cm 정도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근생엽은 모여 나며 어
긋나는 경생엽은 길이 10~30cm의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털이 없다.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거나 결각상의 큰 톱니가 있다. 8~10월에 원추상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2~3cm 정도로 연한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5mm 정도의 타원형이고 백색의 관모는 길이 7~8mm
정도이다. ‘두메고들빼기’와 달리 잎이 갈라지며 수과는 길이 5~6mm 정도이고 총포편은 너비 2.5mm
정도이다. 뿌리와 잎을 식용하며 사료로도 이용한다. [자료 :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한국학술정보]
(2018년 9월 27일 / 경기도 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