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409 피나물 피나물 양귀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중부지방의 산지나 북부지방의 산간지역 그늘진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옆으로 기는 굵은 뿌리줄기를 가져 영양번식으로 무리를 지어 집단을 형성하며 뿌리는 길고 가늘다. 뿌리줄기에서 길이가 30~50㎝인 줄기와 잎이 나온다. 노란색의 꽃.. 2018. 4. 21. 앵초 앵초 앵초과에 속하며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배수가 잘되고 비옥한 토양의 반그늘에서 잘 자란다. 키는 10~25㎝ 정도이다. 잎은 타원형이며 길이는 4~10㎝, 폭은 3~6㎝이다. 잎에는 가는 섬모가 있고 표면에 주름이 많이 지고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며 뿌리에 모여 있다. 꽃은 홍.. 2018. 4. 21. 봄맞이 봄맞이(봄맞이꽃) 앵초과에 속하는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의 습지나 논, 밭둑에서 자란다. 뿌리에서 모여 나는 잎은 지면으로 퍼진다. 잎몸은 길이와 너비가 각각 5~15mm 정도인 편원형으로 가장자리에 삼각상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 2018. 4. 21. 미치광이풀 미치광이풀 가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식물 전체에 털이 없으며, 굵고 마디가 있는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는다. 키는 30㎝ 정도이다. 잎은 난형이며 어긋나고 잎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종 모양이고 진한 보라색이며 4~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한송이씩 피는데, 밑으로 처져 대롱.. 2018. 4. 21. 큰개별꽃 큰개별꽃 석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키는 약 10~20㎝, 굵은 뿌리가 있고 줄기에는 2줄의 털이 나란 히 나 있다. 잎은 마주나는데 줄기 끝에서는 4장이 마주보며 달린다. 꽃은 4~6월경 4장의 잎이 모인 중앙에 솟아나온 꽃자루 위에서 1송이씩 하얗게 피며 꽃.. 2018. 4. 21. 천남성 천남성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산지의 습한 그늘에서 잘 자라며 뿌리는 납작한 구슬 줄기이고,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주색 반점을 띠기도 하며, 한 개의 잎이 달린다. 꽃은 4~7월경 암꽃과 수꽃이 서로 다른 그루에 피며, 윗부분은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져 비를 맞지 않게 생겼고 .. 2018. 4. 21. 산자고 산자고 백합과에 속하는 산자고는 중부 이남의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의 모양이 무릇과 아주 흡사하고 꽃이 알록달록해서 흔히 까치무릇이라고도 부른다. 양지쪽의 토양이 비옥한 곳 에서 잘 자란다. 키는 약 20㎝이다. 잎은 회록색으로 길이는 15~30㎝, 폭은 0.4~0.5㎝이다. 2.. 2018. 4. 11. 서울제비꽃 서울제비꽃 제비꽃과에 속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경기도의 특산식물이다. 잎이 뿌리에서 모여나기하고 처음에는 안으로 말린다. 탁엽은 엽병에 붙어 있으며 끝이 떨어지고 선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cm이고 엽병 상부에 날개가 약간 있다. 엽신은 긴 타원형, 또.. 2018. 4. 11. 남산제비꽃 남산제비꽃 제비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뿌리에서 모여 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2~3개로 갈라진다. 4~5월에 뿌리에서 나온 화경에 피는 꽃은 백색 바탕에 자주색 맥이 있다. .. 2018. 4. 11. 처녀치마 처녀치마 백합과에 속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서 숙근성이란 해마다 묵은 뿌리에서 움이 다시 돋는 식물을 말한다. 즉, 뿌리가 잠을 자다가 때가 되면 다시 새싹이 돋는 것인데, 물기많은 습지에서 서식하며, 키는 10~30㎝이다. 잎은 길이가 6~20㎝정도로서 땅바닥에 펑퍼짐하게 퍼져 방.. 2018. 4. 11. 처녀치마 처녀치마 백합과에 속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서 숙근성이란 해마다 묵은 뿌리에서 움이 다시 돋는 식물을 말한다. 즉, 뿌리가 잠을 자다가 때가 되면 다시 새싹이 돋는 것인데, 물기많은 습지에서 서식하며, 키는 10~30㎝이다. 잎은 길이가 6~20㎝정도로서 땅바닥에 펑퍼짐하게 퍼져 방.. 2018. 4. 11. 모데미풀 모데미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처음 발견된 곳은 지리산에 인접한 전북 남원의 운봉인데, 남원 운봉읍의 모데기라는 곳에서 처음 발견되어 모데미풀이라고 전해진다고 한다. 상대습도가 높은 곳이나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잘 자라며, 키는 20~40㎝ 정도다. 잎은 긴 잎자.. 2018. 4. 11. 모데미풀 모데미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처음 발견된 곳은 지리산에 인접한 전북 남원의 운봉인데, 남원 운봉읍의 모데기라는 곳에서 처음 발견되어 모데미풀이라고 전해진다고 한다. 상대습도가 높은 곳이나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잘 자라며, 키는 20~40㎝ 정도다. 잎은 긴 잎자.. 2018. 4. 11. 올괴불나무 올괴불나무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높이 약 1m 이상으로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 또는 타원형이고 첨두, 원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3.5 ~ 7.0cm × 2.5 ~ 4.5cm로, 양면에 분백색이 돌고 표면에는 잔털 밀생하며 뒷면에 융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으며 잎자루 길이는.. 2018. 4. 11. 올괴불나무 올괴불나무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높이 약 1m 이상으로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 또는 타원형이고 첨두, 원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3.5 ~ 7.0cm × 2.5 ~ 4.5cm로, 양면에 분백색이 돌고 표면에는 잔털 밀생하며 뒷면에 융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으며 잎자루 길이는.. 2018. 4. 11. 애기괭이눈 애기괭이눈 범의귀과에 속하는 애기괭이눈은 우리나라 각처의 계곡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많은 계곡의 바위틈에 이끼와 함께 살고 있다. 키는 약 15㎝가량 된다. 잎은 둥근 하트 장형 으로 길이는 0.3~1㎝ 정도, 폭은 0.4~1.2㎝ 정도이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연한 황록색 이며 .. 2018. 4. 11. 선괭이눈 선괭이눈 범의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가 10cm에 달하며 모여 나고, 전체가 평활하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하부의 잎은 소형 난원형으로 길이 약 1cm이고 같은 길이의 엽병이 있다. 줄기 끝의 잎은 달걀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으로 길이 약 4cm로서 다른 것에 비해 몹시 크며 가.. 2018. 4. 11. 얼레지와 노루귀 (2018년 3월 30일 / 경기도 남양주) 2018. 4. 2. 처녀치마 처녀치마 백합과에 속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서 숙근성이란 해마다 묵은 뿌리에서 움이 다시 돋는 식물을 말한다. 즉, 뿌리가 잠을 자다가 때가 되면 다시 새싹이 돋는 것인데, 물기많은 습지에서 서식하며, 키는 10~30㎝이다. 잎은 길이가 6~20㎝정도로서 땅바닥에 펑퍼짐하게 퍼져 방.. 2018. 4. 2. 만주바람꽃 만주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만주바람꽃은 만주에 많이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도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로서 토양에 부엽질이 많은 양지쪽 산지의 나무 아래에서 주로 자란다. 바람꽃이란 이름은 바람을 유난히 좋아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표종.. 2018. 4. 2.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여러 곳의 산지의 나무 아래에서 주로 자란다. 곧 양지와 반그늘에서 볼 수 있다. 키는 10~15㎝로 아주 작은 편이지만 꽃은 그래도 지름이 3~4㎝ 정도 되어 눈에 잘 띄는 편이다. 잎은 한 줄기에서 세 갈래로 갈라지고 꽃은 4.. 2018. 4. 2. 애기괭이눈 애기괭이눈 범의귀과에 속하는 애기괭이눈은 우리나라 각처의 계곡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많은 계곡의 바위틈에 이끼와 함께 살고 있다. 키는 약 15㎝가량 된다. 잎은 둥근 하트 장형 으로 길이는 0.3~1㎝ 정도, 폭은 0.4~1.2㎝ 정도이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연한 황록색 이며 .. 2018. 4. 2. 금괭이눈 금괭이눈 범의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열매의 모양이 고양이의 눈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꽃받침조각과 주위 잎의 색깔이 노랗게 금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이 아름답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난상 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길이 2.8cm, 폭 2.6~2.8cm정도.. 2018. 4. 2. 산괭이눈 산괭이눈 범의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다른 괭이눈 종류들이 대부분 개울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반면 산괭이눈은 약간 마른 땅에서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중북부 이북의 응달이나 고목 주변에서 잘 자란다. 키는 약 10~15㎝ 정도이며, 잎은 길이가 0.5~2㎝, 폭.. 2018. 4. 2.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