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409 꽃향유 꽃향유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향유보다 꽃이 훨씬 더 짙은 색을 띠어서 꽃향유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양지 혹은 습기가 많은 반그늘의 풀숲에서 자라며, 키는 약 50㎝ 정도이다. 줄기는 뭉쳐나고 네모지며 가지를 많이 치고 흰 털이 많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가.. 2018. 10. 30. 감국 감국(甘菊)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야생 국화이다. 감국(甘菊)이란 단맛이 나는 국화라는 뜻이다. 향이 좋아 꽃을 먹기도 하며, 10월에 꽃을 말린 것을 차나 술에 넣어 먹기도 하고, 전을 부쳐서 먹기도 한다. 양지 혹은 반그늘의 .. 2018. 10. 30. 정선바위솔 정선바위솔 돌나물과 바위솔속으로 겨울눈으로 월동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9cm정도로 암벽에 붙어 난다. 잎은 둥근 모양이고, 끝은 가시처럼 뾰족하고, 길이 1.5~3cm, 너비 1~2cm, 연한 자주색 무늬가 있는 분녹색이다. 꽃은 1개씩 달리고, 꽃차례의 길이 6cm 정도이며, 꽃대는 없다. 꽃잎.. 2018. 10. 28. 애기향유 애기향유 꿀풀과 향유속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30cm에 달하는 줄기는 가늘고 네모지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자색을 띠며 미모가 있고 강한 향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피침형 또는 장란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이 있다. 10월에 홍.. 2018. 10. 28. 애기향유 애기향유 꿀풀과 향유속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30cm에 달하는 줄기는 가늘고 네모지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자색을 띠며 미모가 있고 강한 향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피침형 또는 장란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이 있다. 10월에 홍.. 2018. 10. 28. 정선바위솔 정선바위솔 돌나물과 바위솔속으로 겨울눈으로 월동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9cm정도로 암벽에 붙어 난다. 잎은 둥근 모양이고, 끝은 가시처럼 뾰족하고, 길이 1.5~3cm, 너비 1~2cm, 연한 자주색 무늬가 있는 분녹색이다. 꽃은 1개씩 달리고, 꽃차례의 길이 6cm 정도이며, 꽃대는 없다. 꽃잎.. 2018. 10. 28. 정선바위솔 정선바위솔 돌나물과 바위솔속으로 겨울눈으로 월동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9cm정도로 암벽에 붙어 난다. 잎은 둥근 모양이고, 끝은 가시처럼 뾰족하고, 길이 1.5~3cm, 너비 1~2cm, 연한 자주색 무늬가 있는 분녹색이다. 꽃은 1개씩 달리고, 꽃차례의 길이 6cm 정도이며, 꽃대는 없다. 꽃잎.. 2018. 10. 28. 팥배나무 (2018년 10월 14일 / 서울 개화산) 2018. 10. 28. 좀바위솔 좀바위솔 좀바위솔은 ‘작은 바위솔’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흔히들 '애기바위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작아서 이끼류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자세히 보면 바위솔과 비슷하게 생겼다. 그러나 바위솔이 아무 곳에서나 잘 자라는 반면에 좀바위솔은 바람이 잘 통하고 온도가 비교적 낮은 .. 2018. 10. 17. 좀바위솔 좀바위솔 좀바위솔은 ‘작은 바위솔’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흔히들 '애기바위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작아서 이끼류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자세히 보면 바위솔과 비슷하게 생겼다. 그러나 바위솔이 아무 곳에서나 잘 자라는 반면에 좀바위솔은 바람이 잘 통하고 온도가 비교적 낮은 .. 2018. 10. 17. 강부추 강부추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주로 강변에 자란다. 임진강, 한탄강, 북한강등에서 제한적으로 발견된다. 비늘줄기는 지름 5-13mm의 난형이다. 잎은 2-3장이 어긋나며, 길이 10-41cm이다. 잎 단면은 원형이거나 뒷면이 다소 눌려 있으며 중륵이 없다. 꽃줄기는 길이 21.5-54.5cm, 원기.. 2018. 10. 17. 강부추 강부추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주로 강변에 자란다. 임진강, 한탄강, 북한강등에서 제한적으로 발견된다. 비늘줄기는 지름 5-13mm의 난형이다. 잎은 2-3장이 어긋나며, 길이 10-41cm이다. 잎 단면은 원형이거나 뒷면이 다소 눌려 있으며 중륵이 없다. 꽃줄기는 길이 21.5-54.5cm, 원기.. 2018. 10. 17. 포천구절초 포천구절초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경기도 및 강원도 일부지역의 습기가 많고 햇볕이 잘드는 냇가 근처에 자란다. 경기도 "포천"에서 처음 발견되어 포천구절초라 한다. 다른 구절초들에 비해 잎이 많이 갈라진다.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털이 거의 없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 2018. 10. 17. 포천구절초 포천구절초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경기도 및 강원도 일부지역의 습기가 많고 햇볕이 잘드는 냇가 근처에 자란다. 경기도 "포천"에서 처음 발견되어 포천구절초라 한다. 다른 구절초들에 비해 잎이 많이 갈라진다.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털이 거의 없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 2018. 10. 17. 용담 용담(龍膽) 용담은 용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중국 동북부, 일본 등에 분포하는데 용(龍)의 쓸개(膽)처럼 맛이 쓰다고 하여 용담(龍膽)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줄기는 겉에 가는 줄이 4개 있고, 보통 자줏빛을 띠며, 높이 20~100cm로 자란다. 잎은 난형으로 마주나며 잎 가.. 2018. 10. 17. 어저귀 어저귀 아욱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가 1.5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원주상이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내며 별모양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은 길이 2-15cm이다. 엽신은 심장상 원형이며 급첨두이고 앞뒷면에 별모양털이 밀생하며 둔한 톱니가 있다. 8~9월에 노란색꽃.. 2018. 10. 17. 자주쓴풀 자주쓴풀 용담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의 양지 혹은 반그늘의 풀숲에서 자라며, 키는 15~30㎝이다. 뿌리는 노란색이며 매우 쓰다. 잎은 길이가 2~4㎝, 폭은 0.3~0.8㎝로 마주나며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아져서 뾰족하다. 자주쓴풀은 모양이 쓴풀과 비슷하나 줄기.. 2018. 10. 17. 팥배나무 팥배나무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키는 15㎝에 이르며 어린가지엔 조그만 피목이 있다. 난형의 잎은 어긋나고 중앙맥을 중심으로 2차맥이 나란히 나는데, 잎맥이 패어 있다. 잎가장자리에는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가 1~2㎝이다. 꽃은 5월경 가지 끝에서 산방꽃차.. 2018. 10. 17. 바위솔(와송) 바위솔 돌나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바닷가의 바위 겉이나 지붕 위에 자라는 바위솔 은 특히 오래된 기와 지붕에서 잘 자라는데, 그 모습이 소나무 잎이나 송화, 솔방울을 닮았다 하여 와송(瓦松)이라는 별칭이 붙었습니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꽃대가 생기면 위로 올라가면.. 2018. 10. 9. 둥근잎꿩의비름-3 둥근잎꿩의비름 돌나물과 꿩의비름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약 15~25cm이며 밑으로 처지고 붉은빛이 돈다. 절벽의 바위 위에 붙어 생육하거나 전석지의 돌틈에서 자생한다. 반그늘의 조건하에서도 자란다. 잎은 길이와 폭이 각각 2.5~4.5cm로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엽병은 없으며 마주.. 2018. 10. 9. 둥근잎꿩의비름-2 둥근잎꿩의비름 돌나물과 꿩의비름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약 15~25cm이며 밑으로 처지고 붉은빛이 돈다. 절벽의 바위 위에 붙어 생육하거나 전석지의 돌틈에서 자생한다. 반그늘의 조건하에서도 자란다. 잎은 길이와 폭이 각각 2.5~4.5cm로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엽병은 없으며 마주.. 2018. 10. 9. 둥근잎꿩의비름-1 둥근잎꿩의비름 돌나물과 꿩의비름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약 15~25cm이며 밑으로 처지고 붉은빛이 돈다. 절벽의 바위 위에 붙어 생육하거나 전석지의 돌틈에서 자생한다. 반그늘의 조건하에서도 자란다. 잎은 길이와 폭이 각각 2.5~4.5cm로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엽병은 없으며 마주.. 2018. 10. 9. 꼬마붉은열매지의 꼬마붉은열매지의 사슴지의과에 속하는 꼬마붉은열매지의는 긴 자병 위에 생식기관인 붉은 자낭반이 달려있는 모습이 영국 병정을 연상시켜 한동안 영국병정지의라고 불리었다. 기본엽체는 작고, 크기는 0.5~1.5㎜이며, 엽체가 분화되지 않았으며, 윗면은 황녹색에서 올리브녹색이고, 아.. 2018. 10. 9. 과립작은깔대기지의 과립작은깔대기지의(꼬마요정컵지의) <과립작은깔대기지의>가 꼬마요정컵지의라는 이름으로 불린 이유는 숲속의 꼬마요정이 이슬을 받아 마시는 작은 컵을 닮아서라고 전한다. 지의(地衣)는 글자 그대로라면 지표면을 덮는 옷이라는 뜻으로, 균류(菌類)와 조류(藻類)가 복합체가 되.. 2018. 10. 9.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