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409 큰꿩의비름 큰꿩의비름 돌나물과 꿩의비름속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경기 이북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높이 30~70cm이다. 줄기는 녹백색이고 굵은 뿌리에서 몇 개의 줄기가 나온다. 잎은 마주나기 또는 돌려나기하며 육질이고 달걀모양, 거꿀달걀모양 또는 주걱모양으로 길이 4~10cm, 나비 2~5cm이며 엽병.. 2018. 9. 12. 누린내풀 누린내풀 마편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70~140cm 정도로 사각지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마주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7~14cm, 너비 4~8cm 정도의 넓은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7~.. 2018. 9. 12. 뻐꾹나리 뻐꾹나리 백합과 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약 30~100cm의 줄기는 곧추 서고 비스듬히 하향하는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의 장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5cm, 나비 2~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줄기를 거의 둘러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하엽은 털이 없으나 중부 이상 .. 2018. 9. 12. 미색물봉선 미색물봉선 봉선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주로 산골짝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가 50cm에 달하며 육질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가 특히 두드러진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뾰족하며 엽병을 제외한 길이 4-8cm, 폭은 2.5-4cm로서 표면은 분백이고 .. 2018. 9. 12. 흰금강초롱꽃 흰금강초롱꽃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금강초롱과 같이 더불어 자라고 있으며 높이 30-90㎝이다. 비늘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12㎜로서 4-6개의 잎이 어긋나기하지만 윗부분의 것은 마디사이가 짧기 때문에 모여나기한 것같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으나 윗부분.. 2018. 9. 12. 금강초롱꽃 금강초롱꽃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1902년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나 지금은 경기도의 화악산, 명지산, 유명산, 강원도의 치악산, 오대산, 설악산, 북한의 금강산 등 한국 중부 지방의 높은 산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키는 3070㎝ 정도 자라며 식물 .. 2018. 9. 12. 산꼬리풀 산꼬리풀 현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초원에서 자라며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높이 약 40-80cm이고 가지가 거의 없으며 굽은 털이 산생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 좁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5~10cm, 폭 1... 2018. 9. 12. 분홍장구채 분홍장구채 석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나며 멸종위기식물로 분류하고 있다. 바람이 잘 통하고 햇볕이 많이 들어오는 바위틈이나 그 주변의 물 빠짐 좋은 흙이 있는 곳에서 자란다. 키는 약 30㎝이며, 잎은 길이가 1~4㎝, 폭은 0.4~1.6㎝로 긴 달걀형이고 마주.. 2018. 9. 12. 덩굴닭의장풀 덩굴닭의장풀 닭의장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 계곡의 습지에서 자란다. 덩굴성식물로 줄기의 길이가 1~3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밑부분이 잎집처럼 줄기를 감싸고 있다. 잎몸은 길이 4~8cm, 너비 3~5cm 정도의 심장형으로 가.. 2018. 9. 12. 수까치깨 수까치깨 벽오동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경기도 이남지역의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성모가 있으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이고 길이 4~8cm, 폭2~4.5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거나 다소 절저이고 양면에 성모가 있.. 2018. 9. 12. 진득찰 진득찰 국화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원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로 가지가 마주 갈라지고 자갈색이며 원주형이다. 마주나는 잎은 4~12cm, 너비 3~11cm 정도의 난상 삼각형으로 양면에 약간의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8~9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두상.. 2018. 9. 12. 새삼 새삼 메꽃과에 속하는 기생 덩굴성 한해살이풀로서 원줄기는 철사같고 황적색이 돌며 털이 없고 비후하다. 철사형의 덩굴이 처음에는 지상에 나고 곧 기주식물, 주로 나무에 흡판으로 붙는다. 잎은 비늘같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삼각형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자루가 짧거나 .. 2018. 9. 12. 산토끼꽃 산토끼꽃 산토끼꽃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서 높이가 1m이상이고 윗부분에 능선이 있으며 밑부분에 굵은 자모(刺毛)가 산생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밑부분의 것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이 길고 날개가 있으며 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사각상 달걀모양이고 길이 6~15cm로서 가장자리에 .. 2018. 9. 12. 눈빛승마 눈빛승마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산의 숲 속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50~250cm이며, 잎은 2회 3출하거나 끝의 작은 잎자루에 잎이 더 달려 있다. 8월에 향기를 풍기는 꽃이 하얗게 피는데 꽃은 암수딴포기로 피며, 줄기 끝에 원추 꽃차례로 겹겹이 뭉쳐 달려 눈이 쌓인 .. 2018. 9. 12. 산딸나무 산딸나무 키는 10m 정도 자라고 가지들이 층을 이루며 달린다. 잎은 마주나고 4~5쌍의 잎맥이 양쪽으로 나오며, 잎 뒷면에는 털이 밀생한다. 잎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무딘 톱니들이 조금 있다. 꽃은 6월 무렵 가지 끝에 무리져 피는데 둥그렇게 만들어진 꽃차례에 4장의 꽃잎처럼 생긴 흰.. 2018. 9. 12. 고마리 고마리 마디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의 습지나 개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50~100cm 정도로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고 땅에 닿은 마디에서는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갈라진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4~8cm, 너비 3~6cm 정도의 난형으로 밑부분이 심장저이.. 2018. 9. 12. 곡정초 곡정초 곡정초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전국 각처에 분포하며, 늪이나 논, 습지에서 크게 무리지어 자란다. 잎은 모여나기하며 길이 2-8cm, 폭 1~2mm로서 부드럽고 끝이 송곳처럼 뾰족하다.꽃대는 잎보다 길고 높이 5~15cm로서 세로로 5개의 얕은 홈이 있으며 8-9월에 머리모양꽃차례가 1개.. 2018. 9. 5. 활나물 활나물 "한 푼 두 푼 돈나물, 매끈매끈 기름나물, 어영 꾸부렁 활나물, 동동 말아 고비나물......" 예로부터 전해지는 민요 ‘나물타령’에 "어영 꾸부렁 활나물"이라는 구절이 전해지는 것을 보면 활나물은 활처럼 휘어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임을 미루어 알 수 있다. 콩과에 속하는 한해.. 2018. 9. 5. 애기나팔꽃 (2018년 8월 31일 / 경기도 연천) 2018. 9. 5. 덩굴별꽃 덩굴별꽃 석죽과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서 덩굴의 길이가 약1.7m에 이른다. 줄기는 가늘고 마디는 퉁퉁하며 가지가 많고 꼬불꼬불한 털이 있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모양이거나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2-5cm, 폭 7-2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2018. 9. 5. 익모초 익모초 꿀풀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식물 고려 때 이두어로 목비야차(目非也次)라 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암눈비얏’·‘암눈비얏’로 불렸다. 최근에는 익모초로 통용되는데, 익모(益母)란 부인에게 유익하여 눈을 밝게 해주고 정력을 더하여 준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높이는 1m.. 2018. 9. 5. 미국실새삼 미국실새삼 미국실새삼은 메꽃과에 속하는 덩굴성 한해살이 기생식물이며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콩이 수입되면서 같이 들어온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밭에서 자랍니다. 다른 식물을 감고 기어 올라가 영양분을 빨아먹고 자라는 기생식물인데, 처음엔 뿌리가 있다가 다.. 2018. 9. 5. 영아자 영아자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가 약 50~100cm 정도로 가지가 갈라지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전체에 털이 약간 있다. 어긋나는 잎은 길이 4~10cm, 너비 2~4cm 정도의 긴 난형으로 끝부분이 뾰족.. 2018. 9. 5. 계요등 A 계요등 계요등(계뇨등)은 용담목 꼭두서니과의 낙엽활엽 덩굴식물로서 주로 산기슭 양지쪽에서 자란다. 특이하게도 닭오줌 냄새가 나서 계요등(鷄尿藤)이란 이름이 붙었으며 구린내덩굴이라고도 한다. 줄기(덩굴)의 길이는 5∼7m, 잎은 길이 5~12cm 너비 1∼7cm의 달걀 모양이나 바소꼴로 마.. 2018. 8. 30.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143 다음